안녕하세요! 마스터환입니다. 지난 주말 외가댁에 갔다가 외삼촌과 외할머니와 함께 남해에 있는 이순신 순국공원에 다녀왔습니다. 이순신 순국공원은 이순신 장군이 왜적과 싸우다가 돌아가신 노량해전이 펼쳐진 관음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노량해전 어릴 때 부터 많이 들었지만 남해 인줄은 몰랐습니다. 그리고 외가댁과 이렇게 가까운 위차에 있을 줄은 더더욱 몰랐습니다.
이순신 순국공원은 크게 호국광장과 관음포광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호국광장과 관음포광장 시설은 아래와 같습니다.
호국광장 | 관음포광장 |
- 이순신 상징 조형물 - 순국의 벽 - 각서공원 - 위령탑 - 멀티미디어 공연장 - 바다광장 - 이순신 영상관 - 남해 관음포 이충무공 유적 |
- 관광안내소 - 시골장터 - 이순신 밥상 체험관 (식당) - 정지공원, 대장경 공원 - 이순신 인물 체험공원 - 거북 분수공원 - 리더십 체험관 |
저희는 관음포광장을 걸었습니다. 먼저 눈에 들어온건 대장경 공원입니다.
고려대장경 판각지 남해 관음포
남해 관음포를 비롯한 고현면 일대는 우리 민족의 자랑스러운 문화유산이자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는 고려대장경의 판각지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 문헌적인 근거로 합천 해인사에 보관되어 있는 고려 대장경 종경록 27권에 "정미세고려국분사남해대장도감개판" 이라는 기록과, 고려사 정세유 열전에 정안의 남해 퇴거와 대장경 반분 간행 길록, 보각국사 일연의 비문 중 정안의 남해 사제를 정림사로 고쳤다는 내용 등을 들 수 있으며, 1990년대 이후 꾸준한 발굴조사를 통해 이 일대에서 고려시대 건물터와 귀족신분을 상징하는 고급청자, 명문기와 등 고려대장경 판각을 추정할 수 있는 유물들을 다량 발굴하는 성과를 올리고 있습니다.
나대용이 건조한 거북선
전라좌수사 이순신이 고안한 거북선을 실제 건조한 사람은 이순신의 군관인 나대용입니다. 거북선은 판옥선을 개량하여 위에 덮개를 씌운 당대 무적의 장갑함으로, 한국 과학 기술력의 수준이 우수함을 보여 줍니다.
- 체험방법 : 거북선에 직접 올라가 파이프로 소리 전달
- 체험효과 : 근력, 공간지각력, 유연성, 평형성
정걸이 만든 판옥선
정걸 장군은 임진왜란의 주력 군선인 판옥선을 만들었습니다. 판옥선은 전투원과 노군을 분리시키고 대형 화포를 장착한 효율적인 구조로 전투력을 높여 일본군과의 해전에서 승리 할 수 있었습니다
- 체험방법 : 판옥선 모형배를 지휘
- 체험효과 : 근력, 순발력, 평형성
이봉수가 제조한 화약
전라좌수사 이순신의 군관인 이봉수는 화포 발사에 가장 중요한 화약을 대량으로 제조하는 기술을 개발하였습니다. 화약이 매우 부족한 때에 이봉수가 제조한 화약으로 대형 화포를 발사할 수 있었습니다
- 체험방법 : 총통 미끄럼틀 (종류 : 천자, 지자, 현자, 황자)
- 체험효과 : 유연성, 민첩성
리더십체험관에는 관음루, 노량대원, 전승관, 순국관, 충무관, 통제관이 있습니다.
관음루에 올라가면 북이 있습니다. 누구나 북을 쳐 볼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이순신 장군이 참여한 해전에 대해 간략히 알아 보겠습니다. (출처 : 나무위키)
출전 | 연도 | 날짜 (음력) |
해전 | 성과 |
1차출전 | 1592년 (선조 25년) |
5월 07일 | 옥포해전 | 적선 26척 격침 |
합포해전 | 적선 5척 격침 및 전멸 | |||
5월 08일 | 적진포해전 | 적선 11척 격침 및 전멸 | ||
2차출전 | 5월 29일 | 사천해전 | 적선 13척 격침 및 전멸 | |
6월 02일 | 당포해전 | 적선 21척 격침 및 전멸 구루시마 미치유키 전사 |
||
6월 05일 | 제1차당항포해전 | 적선 26척 격침 적 지휘관 전멸 |
||
6월 07일 | 율포해전 | 적선 3척 격침, 4척 포획 | ||
3차출전 | 7월 08일 | 한산도해전 | 적선 59척 격침, 14척 나포, 와키자카 사헤에, 와타나베 시치에몬 전사, 마나베 사마노조 사망 |
|
7월 10일 | 안골포해전 | 적선 42척 격침 및 전멸, 3,960여 명 전사 |
||
4차출전 | 8월 29일 | 장림포해전 | 적선 6척 격침 | |
9월 01일 | 화준구미해전 | 적선 5척 격침 | ||
다대포해전 | 적선 5척 격침 | |||
서평포해전 | 적선 8척 격침 | |||
절영도해전 | 적선 9척 격침 | |||
초량목해전 | 적선 4척 격침 | |||
부산포해전 | 적선 128척 격침, 3,800여 명 전사 |
|||
5차출전 | 1593년 (선조 26년) |
2월 10일 ~ 3월 06일 |
웅포해전 | 적선 51척 격침, 구와나 지카카쓰 전사, 2,500명 전사 |
6차출전 | 5월 02일 | 2차웅포해전 |
출전 | 연도 | 날짜 (음력) |
해전 | 성과 |
7차출전 | 1594년 (선조 27년) |
3월 04일 | 2차당항포해전 | 적선 31척 격침 및 전멸 |
8차출전 | 9월 29일 | 1차장문포해전 | 적선 2척 격침 | |
10월 01일 | 영등포해전 | 피해없음 | ||
10월 04일 | 2차장문포해전 | 피해없음 | ||
9차출전 | 1597년 (선조 30년) |
2월 10일 | 2차부산포해전 | 알수없음 |
10차출전 | 8월 27일 | 어란포해전 | 불명 | |
9월 16일 | 벽파진해전 | 알수없음 | ||
9월 16일 | 명량해전 | 적선 31척 격침 5000여 명 사살 도도 다카토라 부상, 구루시마 미치후사, 하타 노부토키 전사, 전사자 불명 |
||
11차출전 | 1598년 (선조 31년) |
7월 19일 | 절이도해전 | 적선 50여 척 격침 |
9월 20일 ~ 10월 07일 |
장도해전/왜교성전투 | 적선 30여 척 격침, 11척 나포, 3천여 명 사상 |
||
11월 19일 | 노량해전 | 적선 200여 척 격침, 100여 척 나포, 150여 척 반파, 사상자 2만 ~ 3만 명(추정치) |
지금까지 이순신장군이 전사한 관음포(노량해전)에 위치한 이순신 순국공원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