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마스터환입니다. 2023년 계묘년 시작한지도 어느덧 8일이 지나가고 있습니다. 매년 연초에는 각종 요금들이 인상 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특히 올해는 작년부터 시작된 러시아 -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물가상승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입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2023년 계묘년(올해) 부터 인상되는 각종 생활요금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전기요금
먼저 전기요금은 2022년 말 대비 13.1원/kWh 인상되었습니다. 즉 1월 1일부터 9.5% 폭으로 인상되었습니다. 월 평균 307kWh를 사용하는 4인 가구기준 1분기 전기요금이 4,570원 가량 오르는 셈 입니다.
* 2022년과 마찬가지로 전기요금이 분기마다 순차적으로 인상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택시비
- 서울 중형택시 기준, 2023년 2월 부터 시행
- 기본거리 1.6km 당 기본요금 4,800원 (131m, 30초당 100원)
- 심야 할증(밤 10시 ~ 익일 오전 4시 / 할증요율 20 ~ 40%)은 2022년 12월부터 인상 되었습니다
종류 | 교통카드 | 현금 | ||
인상 전 | 인상 후 | 인상 전 | 인상 후 | |
기본요금 | 3,800원 | 4,800원 | 3,800원 | 4,800원 |
심야할증 (밤 11시 ~ 익일 오전 2시 기준) |
4,600원 | 5,300원 | 4,600원 | 5,300원 |
버스비
- 2023년 4월 말부터 시행 예정
- 버스 한달(60회) 이용시 72,000원에서 90,000원으로 매달 18,000원 추가 (인상률 약 25%)
종류 | 교통카드 | 현금 | ||
인상 전 | 인상 후 | 인상 전 | 인상 후 | |
간선 및 지선버스 | 1,200원. | 1,500원 | 1,300원 | 1,600원 |
마을버스 | 900원 | 1,200원 | 1,000원 | 1.300원 |
지하철 요금
- 2023년 4월 말 시행 예정
- 지하철 한달(60회) 이용시 75,000원에서 93,000원으로 매달 18,000원 추가 (인상률 약 24%)
종류 | 교통카드 | 현금 | ||
인상 전 | 인상 후 | 인상 전 | 인상 후 | |
일반 | 1,250원 | 1,550원 | 1,350원 | 1,650원 |
가스요금
- 2023년 1분기 동결 : 겨울철 난방비 부담 고려해 1분기 동결 결정
- 2023년 2분기 인상안 : 1MJ당 8.4원 ~ 10.4원 인상될 전망, 지난해 대비 약 1.5 ~ 1.9배 인상 예상
2023년도 건강보험료
- 2023년도 건강보험료율 1.49% 인상
- 직장가입자 보험료율은 0.1% 인상
최저시급
- 2022년 9,160원에서 5%(460원) 오른 9,620원
- 주 40시간 근무기준 (주휴수당 포함)
월급 : 최저 201만 580원
연봉 : 최저 2412만 6960원
휘발유 유류세
- 휘발유 유류세 인하 폭 37% -> 25%로 축소
지금까지 2023년 계묘년(올해) 부터 인상되는 각종 생활요금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영역